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코인 선물투자란

by 진L.S 2022. 6. 12.

코인 선물투자란?

1. 현물/선물거래


현물거래란 특정 실제 상품을 직접 거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

EX) 사과의 현재가치는 1000원, A와 B가 1000원에 사과를 거래한다

선물거래란 특정 상품을 미래의 특정 일자에 특정 가격에 거래할 수 있는 계약을 거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

EX) 사과의 현재가치는 1000원, A는 사과의 가치가 9월에 900원으로 떨어질 거 같고 B는 1100원으로 올라갈 거 같다면 A와 B가 9월에 1000원에 거래하는 계약을 맺고 이 계약을 거래한다


이때 우리는 해당 파생상품을 사과 선물 9월 물이라고 부르게 됩니다

2. 거래소


대다수의 트레이더들이 사용하는 선물거래소로는 바이낸스, 바이 비트, 비트 맥스, 등이 있습니다

! ) 검증되지 않은 거래소를 이용하면 자금 회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조심하세요

2-1. 선물 거래 시작하기

바이낸스 헤드


먼저 바이낸스(원하는 거래소) 계정을 생성 후 지갑을 클릭

지갑



법정화폐 및 현물로 들어가서

XRP 입금주소




원하는 코인을 선택하고 입금 버튼 클릭

바이낸스 입금




해당 코인의 입금 주소, 태그(메모)를 확인하고

;

업비트 출금



업비트(빗썸)에서 해당 코인을 사서 아까 확인한 입금 주소, 태그(메모)를 작성 후 체크하고 출금신청

XRP 전환




해당 코인이 바이낸스(선물 거래소) 지갑에 도착했다면 전환 버튼 클릭

XRP 테더 전환




해당 코인을 USDT로 전환해주고

전송nbsp;8.jpg



전송을 클릭한 다음에

현물선물전송




마지막으로 법정화폐 및 현물 지갑에서 USD-M 선물 지갑으로 USDT 금액 입력 후 확인 버튼 클릭


이제 선물거래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

-입출금 코인으로 리플, 트론을 추천합니다
-입출금 지갑 주소와 태그(메모)는 꼭 정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잘못 작성 시 코인 증발합니다
-입출금 중 시세 변동은 본인 책임입니다

2-2. 거래소별 수수료
-바이낸스 | 지정가(MAKER) +0.02% /시장가(TAKER) +0.04%
-바이 비트 | 지정가(MAKER) -0.025% /시장가(TAKER) +0.075%
-비트 맥스 | 지정가(MAKER) -0.025% /시장가(TAKER) +0.075%

-수수료가 +면 지불하고 -면 돌려받습니다
-레퍼럴 코드를 통해 가입할 시, 수수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

3. 마진

마진이란 증거금을 의미합니다

개시 마진이란 포지션을 개시(OPEN) 하기 위한 마진입니다
유지 마진이란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한 마진입니다

! ) 이제부터 마진을 증거금이라 부르겠습니다

4. 교차/격리

교차란 선물 지갑에 보유하고 있는 모든 금액을 유지 증거금으로 사용합니다
격리란 특정 증거금만을 할당하여 유지 증거금으로 사용합니다

4-1. 교차/격리 변경하기

주문 교차격리




네모 박스 클릭

교차격리 설정 수정




교차/격리 원하는 모드 선택

5. 롱/숏

롱이란 해당 상품의 가격이 상승한다고 보는 포지션입니다

+) 롱 = 공매수 = 콜 = 상승에 베팅

숏이란 해당 상품의 가격이 하락한다고 보는 포지션입니다

+) 숏 = 공매도 = 풋 = 하락에 베팅

5-1. 롱/숏 메커니즘

롱 메커니즘 1000원에 매수, 1100원에 매도 100원의 차익
숏 메커니즘 1000원에 (상품을 빌려와서) 매도, 900원에 매수 (빌린 상품을 갚음) 100원의 차익

6. 레버리지

레버리지란 보유 금액 이상의 금액을 거래소에서 빌려오는 것을 의미합니다
(비트코인/바이낸스 기준) 최소 1배 ~ 최대 125배까지 레버리지 사용이 가능합니다

+) 포지션 진입 중 레버리지를 변경 시 다음 주문(추가 진입 및 종료 후 재진입)부터 적용됩니다

6-1. 레버리지 설정하기

주문 레버리지




네모 박스 클릭

레버리지 조정 수정



원하는 레버리지 설정

7. 수수료 계산법

예시로 설명하겠습니다

개시 증거금 100 USDT / 레버리지 10배 / 시장가 / 진입가 BTCUSDT 25,000 / 청산가 BTCUSDT 50,000

100 USDT (개시 증거금) * 10 (레버리지) = 1,000 USDT (사이즈)
1,000 USDT (사이즈) * 0.04% (시장가 수수료) = 0.4 USDT (수수료)
0.4 USDT (수수료) * 2 (포지션 오픈/클로즈) = 0.8 USDT (최종 수수료)

더 자세히 분석하자면

100 USDT (개시 증거금) * 10 (레버리지) * 0.04% (시장가 수수료율) = 0.04 USDT (포지션 오픈 수수료)
100 USDT (개시 증거금) * 10 (레버리지) - 0.04 USDT (포지션 오픈 수수료) = 999.6 USDT (사이즈)
999.6 USDT (사이즈) / 25,000 USDT (진입가) = 0.0399 BTC (보유 수량)
0.0399 BTC (보유 수량) * 50,000 USDT (청산가) = 1,999.2 USDT (명목 가치)
1,999.2 USDT (명목 가치) * 0.04% (시장가 수수료율) = 0.7996 USDT (포지션 클로즈 수수료)

+) 포지션 오픈/클로즈 둘 다 수수료가 발생합니다

8. 강제 청산

강제 청산이란 포지션을 오픈하고 유지 증거금이 부족해지면 거래소에서 시장가로 포지션을 강제로 정리하게 됩니다

격리로 포지션을 개시할 시 해당 개시 증거금만 강제 청산됩니다
교차로 포지션을 개시할 시 개시 증거금뿐만 아니라 유지 증거금 즉 선물 지갑의 전부가 강제 청산됩니다

이때 강제 청산 가격은 시장 평균가로 정합니다

+) 강제청산 전에 시장가나 지정가로 포지션을 종료 시 보험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(뽀찌 개념)

8-1. 시장 평균가

시장 평균가란 전 세계 주요 거래소에서의 비트코인이 거래되는 평균 가격입니다

8-2. 강제 청산 가격 늘리기 (증거금 추가)

포지션마진추가제외



마진 부분 옆에 연필 모양을 클릭

마진추가제외



원하는 금액만큼 마진을 추가

9. 이익실현(TP)/스탑로스(SL)

이익실현이란 지정 가격(시장 평균가/마지막 체결가)에 도달 시 시장가/지정가로 포지션을 정리해 이익을 실현하는 주문입니다
스탑로스란 지정 가격 (시장 평균가/마지막 체결가)에 도달 시 시장가/지정가로 포지션을 정리해 손실을 멈추는 주문입니다

+) 마지막 체결 가는 사용 거래소의 마지막 체결가입니다

9-1. 이익실현(TP)/스탑로스(SL) 설정하기

포지션TPSL



이익실현/스탑로스 칸 아래 연필 모양 클릭

이익실현스탑로스



원하는 주문 설정

10. 헷지(헤징)

헷지란 일종의 보험이자 분산투자 개념입니다
주 투자 상품의 가격이 하락해서 손실이 발생해도 헷지 투자 상품의 수익이 손실을 일정 부분 커버해주는 전략을 뜻합니다

+) 주식시장에서의 헷지는 채권, 금, 달러 지수 등등의 상품이 있습니다

11. 펀딩 비(펀비)

펀딩 비란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의 괴리율을 좁히기 위한 시스템입니다

펀딩비 하이라이트



펀딩 비가 양수(현물가격 < 선물 가격)라면 롱 홀더들이 숏 홀더들에게 펀딩 비를 지급합니다
펀딩 비가 음수(현물 가격 > 선물 가격)라면 숏 홀더들이 롱 홀더들에게 펀딩 비를 지급합니다

+) 8시간마다 지급됩니다

+) 카운트다운은 펀딩 비까지 남은 시간입니다
+) 펀딩 비는 선물 지갑에서 빠져나갑니다

12. 사소한 팁

코인 선물거래를 경험한 바 거래량이 제일 많은 바이낸스를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.
1위 거래소이고 사용자가 많아 한번에 빠지는 속임수가 타 거래소보다 적고 유동성이 풍부해 매수 매도가 쉽습니다.
선물 거래는 큰 위험성이 따르므로 적은배율로 하락에 배팅하고 싶은 분이나 적은 돈으로 레버리지를 키워서 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에게만 추천드립니다
코인 하시는 분들 중에 하루아침에 깡통 차는 게 선물거래입니다 절대 절제력이 없는 분들은 하지 마십시오

반응형

댓글